모바일모드 | 로그인 | 회원가입
2025년07월24일thu
 
티커뉴스
뉴스홈 > 뉴스 > 여행.관광
트위터로 보내기 싸이월드 공감 네이버 밴드 공유
쪽지신고하기 기사글확대 기사글축소 기사스크랩 이메일문의 프린트하기
등록날짜 [ 2018년01월30일 12시10분 ]
[아유경제=박진아 기자] 올해부터 문화재청은 재난에 강한 문화재 환경 조성을 목표로 문화재 방재대책을 더욱 체계화하고 현장 방재능력을 최대한 발휘하도록 한다고 밝혔다.

우선 예방에 중점을 둔 문화재 방재 5개년 계획을 수립한다. 그간 추진한 재난방재대책에 대한 분석 평가로 다양화 대형화되고 있는 재난에 효율적으로 대응하기 위하여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계획을 수립할 계획이다. 세부 내용으로 방재시설 확충, 전문인력 배치, 교육 훈련계획, 상시관리, 첨단시설 문화재 방재 도입 방안 등을 포함할 예정이다.

또한,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발맞춰 사물인터넷(IoT) 등 첨단 방재기술을 문화재 현장에 적용해 나간다. 상시관리가 어려운 문화재 현장에는 인터넷 체계를 구축해 긴급대응체계를 확보하고, 외부요인(기상정보, 산불정보, 재난이력 등)과 내부요인(문화재 특성, 현장별 방재시설 정보, 안전점검 이력 등)의 빅데이터를 분석해 현장별 대책 수립의 판단근거를 제공하는 문화재 방재정보통합시스템을 구축해 올해 시범운영할 예정이다.

아울러, 문화재 소유자 및 관리자 안전교육을 고택과 사찰 문화재 관계자로 대상을 확대한다. 재난 발생 시 문화재 소유자 및 관리자 등이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각 건축 문화재 현장마다 재난대응 매뉴얼을 작성‧비치하는 등 현장대응력을 더욱 강화할 것이다.

참고로, 2008년 화재 이후 2013년에 완공된 숭례문은 전통 단청과 전통 수제 기와를 사용하여 복구하였으나 이후 발생한 단청박락과 숭례문 구조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었다. 문화재청은 이를 보완하고 불합리한 수리체계를 개선하는 등 숭례문 복구공사 이후 후속 조치를 진행해왔다.

또한, 문화재청은 숭례문 복구공사를 계기로 현실에 부합되지 못한 법 제도, 자격증 불법대여, 전통기법과 전통재료의 단절 등 문화재 수리체계 개선을 지속 추진하고 있으며, 현재까지 수리 책임성 강화와 시험 및 교육 제도 개선 등을 완료하는 등 수리분야 제도도 획기적으로 개선했다.

앞으로는 문화재수리 종합정보관리시스템 구축을 통해 문화재별 수리이력, 설계도서 등 관련 자료의 체계적 관리 및 활용과 책임(준공)설계제도 도입, 중요 수리사업 책임 감리 등 과학적이고 효율적인 수리체계를 구축할 것이다.

그리고, 전통단청 안료 사용 등 전통기법과 전통재료 역시 적극적으로 계승할 것이다. 전통단청 연구개발은 지난 2014년부터 전통단청안료 제법 규명과 재현 연구, 품질기준과 현장 적용성 연구 등을 진행 중으로, 올해부터 전통단청 시공법과 품셈 연구, 전통단청 시범사업(연 2~3건)을 실시할 계획이다. 이후 지속적인 연구와 시범사업 모니터링을 통해 전통단청 시방서(시공기준)와 표준품셈, 시공 기술교범, 하자기준 등을 정립하고 단청기술자 교육 등 전통기법 보급을 위해 노력할 계획이다.

ⓒ AU경제(http://www.areyou.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올려 0 내려 0
박진아 기자 이 기자의 다른뉴스보기
무통장입금 정보입력 입금자명 입금예정일자
(입금하실 입금자명 + 입금예정일자를 입력하세요)
[관련뉴스]
- 관련뉴스가 없습니다.
트위터로 보내기 싸이월드 공감 네이버 밴드 공유
기사글확대 기사글축소 기사스크랩 이메일문의 프린트하기
누구나 건물 내진 설계 확인 가능하다! (2018-01-30 16:46:06)
2016년 미술시장 규모 3965억 원… 완만한 성장 추세 (2018-01-30 12:10:02)
제천 ‘오늘도 내일도 고기로!...
제천시, ‘2023 제천 명동 고기...
제천시, ‘2023 제천 명동 고기...
온라인 슈즈백화점 ‘슈백’, ...
인공지능과 블록체인 탑재된 타...
사회연대은행-생명보험사회공헌...
월드투게더, 현대건설·캠프와 ...
양수경 CF flash
현재접속자